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단 제가 준비한 건,261

Linux Link ( soft link, hard link, 링크, ln, ln -s, 차이점 ) Link Link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soft, hard link가 존재하는데 soft link는 window에서 바로가기와 같다. 하나씩 알아보자, 먼저 tmp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 test.txt 파일을 만들어줬다. 그리고 그 파일에 softlink를 걸어주는데 link를 걸어주는 명령어는 ln으로 -s 옵션을 줘야 softlink다. (+ default는 hard link다.) 아래 보면 test.txt 파일을 softlink라는 이름의 바로가기를 만들었다. ls -l로 확인해보면 softlink라는 이름은 text.txt랑 이어져 있다고 나온다. 그리고 파일 권한을 보면 d가 아니라 l이라고 제일 앞에 있다. 이게 바로 symbol link라는 의미를 표시한다. 그리고 link 숫자가 1로.. 2022. 3. 23.
컴퓨터 구조 AMAT ( Average Memory Access Time, cache 성능 평가 ) cache의 성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지표가 AMAT이다. cache는 instruction과 Data가 존재하는데 cache에 cpu가 찾는 데이터가 있다면 이걸 HIT이라고 하고 cache에 없다면 miss라고 한다. 없다면 메인 메모리로부터 가져와야 하는데 이걸 miss penalty라고 한다. 왜 penalty 냐면 메인 메모리의 접근은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AMAT의 계산을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AMAT = Hit time + Miss rate * Miss penalty Hit time = cpu로부터 cache캐시에 있는 정보를 가져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Miss rate = cache에서 메인 메모리로 접근하는 비율을 말한다. 다시 말해, cpu에서 cache에 명령을 보냈.. 2022. 3. 23.
컴퓨터 구조 Cache 주소, Write 동작 (word address, chunk id, Direct Mapped Cache, Write-allocation policy, Write-back policy) address의 개념을 잡고 가자. 메인 메모리는 byte로 구성돼 있다. Word는 4byte로 구성돼 있는데. Word address는 byte 주소를 2진수로 바꿨을 때, 제일 오른쪽 2개 비트를 제외하고 제일 첫 번째 주소를 Word주소로 취한다. 이게 왜 이렇게 되냐면, 4byte는 4번마다 00, 01, 10, 11이 반복되는데 이 반복되는 건 의미가 없기 때문에 무시하고 주소를 얻는 것이다. 그렇다면 Block address는 어떻게 구할까?? 아래를 보면 block address는 cache size에 따라 달라진다. cache size는 쉽게 말해 캐시의 저장 공간 크기다. 16byte라면 하나의 entry에 16byte를 저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32byte라면 아래 5 bit를 무시.. 2022. 3. 23.
컴퓨터 구조 Cache ( Locality, Temporal Locality, Spatial Locality, Direct-Mapped-Cache, 캐시 동작, 캐시 ) cpu와 memory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이때 cpu는 memory한테 주소를 전달하고 반환될 때까지 기다린다. 다시 말해 cpu 내부에서의 처리는 빠르지만 메모리로부터 불러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말이다. 조금 바꿔 말하면 pipeline에서 Fetch는 오래 걸리고 Decoding, Execution은 빨리 처리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5 stage pipeline design인데 cpu는 1 GHz(1ns)라고 하자, memory로부터 정보를 얻는 시간은 100ns이다. 이런 식이니 메모리로부터 Fetch 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든다. 꼭 메인 메모리로부터 가져와야 할까? 하는 생각을 하다 해결방안으로 나온 것이 Cache이다. Cache 캐시는 프로세서 안에 cpu와 메인 메모리 사.. 2022. 3. 22.
Linux File permissions (파일 시스템 권한, chmod, chown, chgrp ) File permissions 첫 번째 자리에는 [d, l, -]가 들어갈 수 있다 d = directory l = symbolic link - = regular file User, Group, Others에는 rwx가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r = read, 읽는 게 가능하다 w = write, 쓰는 게 가능하다 x = execute, 실행시키는 게 가능하다. 실행 파일이 아니라면 User일지라도 불가할 수 있다. 나중에 rwx를 숫자로 표현하는데 조건이 모두 고유하게 표현 가능하다. 즉, 코드화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자세히 보면, r=4 w=2 x=1의 숫자로 할당되고 rwx의 합으로 User, Group, Others가 각 자릿수로 표현한다. 예를 들면 rwx --- --- = 700 == (4+2+.. 2022.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