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단 제가 준비한 건,261

Linux Session wide (.profile, .bashrc) Session-wide 개별 유저 wide라고 볼 수 있는데, 자신의 입맛에 맞게 설정을 기본 설정으로 바꾸는 것이다. 2가지 파일로 변경 가능하다. .profile : 처음 로그인할 때만 적용된다. .bashrc : 모든 shell에 적용될 애들을 추가한다. 근데 로그인 shell도 shell이다. 그래서 .profile 마지막에 .bashrc를 호출하여 모든 shell에 적용시킨다. 예를 들어 로그인할 때마다 gedit를 띄우기 위해선 nano. profile 한 다음에 제일 마지막에 gedit & 를 추가하면 된다. 그럼 로그인 할 때마다 자동으로 gedit파일이 뜬다. 2022. 3. 18.
Linux 변수, shell ( 지역 변수, 전역 변수, 제거, 생성, env, set, export, grep, unset, bash ) shell 확인 먼저 어떤 shell을 쓰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echo $SHELL 하면 된다. /bin/bash를 쓰고 있다. 다음에는 shell의 종류를 알아보자. cat /etc/shells 하면 어떤 shell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변수 변수에는 전역 변수(global)와 지역변수(shell)가 있는데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모든 변수(전역, 지역)들 확인하려면 set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shell 변수만 확인하려면 env 명령어로 볼 수 있다. 변수 선언 선언에는 따로 할 게 없고 ttt=1, aaa=1 하면 된다. 변수가 잘 들어갔는지 확인해보자. 그냥 env 치면 많은 정보가 나온다 그래서 원하는 단어가 있는 특정 줄을 확인하려면 grep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env | .. 2022. 3. 18.
Linux ctrl + z ( stop, 백그라운드 실행, 그라운드 변경, change ground ) 백그라운드로 실행해야 되는데 forward ground로 돌아갈 때, 어떻게 해야 할까?? ctrl + z 를 통해 멈추고 bg명령어를 치면 백그라운드로 돌아간다. ping 8.8.8.8 = forward ground ctrl + z = stop bg = change back ground 2022. 3. 18.
Linux ( touch, ping, top, date, ps, uptime ) 명령어 ping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걸 알기 위해 먼저 ping 명령어를 보자, ping 8.8.8.8 하면 아래 주소에 신호를 보냈을 때 응답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알려준다. 정보를 출력하지 않고, ping.log파일로 출력을 저장한다. 보려고 하면 more ping.log 하면 된다 date 시간 알아보는 법 ps 현재 돌아가고 있는 프로세서를 확인한다, 현재 내 거에만 돌아가고 있는 프로세서이다 그래서 적은 거 같지만 전체 프로세서들이 돌아가는 걸 보기 위해 ps -e 하면 엄청 많이 뜬다. uptime 리눅스 시스템이 실행되고 현재까지 돌아간 시간 확인, 사용자, cpu사용량을 알려준다. top top이라고 치면 작업관리자 처럼, 정보들을 알려주는데 계속 업데이트된다. 끝내려면 ctrl + c를 누.. 2022. 3. 16.
Linux 백그라운드 실행, 종료 ( ping, &, fg ) 백그라운드 실행 gedit 하면 빈 파일이 생기는데 이걸 끝내야 다시 쉘로 돌아와 명령어를 칠 수 있다. 하지만 우린 이걸 백그라운드로 돌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즉, 쉘을 계속 사용하기 위해 어떻게 할까? & 기호를 사용하면 된다. gedit &라고 하면 파일은 파일대로 생기고 쉘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근데 위에서 본 ping 8.8.8.8 & 을 하면 백그라운드로 돌아가는데 계속 실행된다. 그래서 ctrl + c해도 안 끝난다 이걸 끝내려면 다시 포그라운드로 끌어온 뒤에 끝내야 한다. 그래서 "fg"라고 친 뒤에 crtl + c 해야 끝난다. 백그라운드로 2개를 돌려보자. 그런 다음에 끝내고 싶다면 fg를 하는데 fg를 하면 제일 마지막에 했던 프로레서가 fg로 나온다. 만약 첫번째 실행시킨 걸.. 2022.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