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단 제가 준비한 건,261 운영체제 관리 ( Process Management, Memory Management, File-system Management ) Process Management - Program과 Process의 차이점부터 알아야 한다. Program이란, 실행파일이다.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실행파일이 프로그램이다. Process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실행 주체이다. 즉, 프로그램을 동작하는 주체다. 동작하기 위해 cpu를 차지하고 동작한다. OS에선 프로세서 하나하나를 Process ID라고 명명했다. 또한 동작하기 위해선 cpu, memory, I/O, files, 초기화 데이터 등이 필요하다. 추가로 재사용 가능한 자원에 대해선 회수하기도 한다. Memory Management - 실행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은 메모리에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메모리는 이런 명령어들과 정보를 관리해야 한다. 현재 메모리의 어디 부분이 어떤 프로그램에 의.. 2022. 4. 5. 운영체제 서비스 (하는 일) 운영체제의 서비스 1. User interface (편리성) - CUI ( character user interface ) -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 ) - EUCI ( End-user comfitable interface ) 2. I/O operations -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I/O를 관리한다. 3. Program execution - 시스템은 프로그램을 메모리 상에서 구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게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는지 안 하는지 관리하는 것이다. 4. File-system manipulation - 파일 시스템은 특히 중요한데,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파일 혹은 디렉터리를 읽고 쓰고 생성과 제거, 탐색, 권한 등을 관리하는 것이다. 5. C.. 2022. 4. 5. 운영체제의 구분 기준 운영체제의 구분 기준 - 동시 사용자 수 1. single_user system - 한 번에 한 명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시스템이다. 가령, 개인 PC 2. multi_user system - 동시에 여려 명이 여려 명이 사용 가능한 시스템이다. 여려 명이 사용하기 때문에 소유권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고 multi tasking 기능이 필요하다. 가령 unix, Linux, 서버.. - 동시 실행 프로세스 수 1. 단일 작업 (single tasking system) - 시스템 내에 하나의 작업만 존재한다. 운영체제의 구조가 간단하다. 2. 다중 작업 (multi tasking system) - 시스템 내에 여러 작업의 수행 가능, 우리가 여러 프로그램을 띄워놓고 사용하는 것이다. 즉, 운영체제가 복잡하다... 2022. 4. 5. 머신러닝 KMeans Find Optimal k ( Elbow Method, Silhouette Method ) KMeans KMeans는 중앙점 seed와 개체들 간의 평균 거리를 기준으로 군집을 형성하는 알고리즘을 KMeans 클러스트링이다. 동작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지정 클러스터의 수에 맞게 임의로 중심을 지정한다 2. 거리를 기준으로 클러스트링을 한다. 3. 이전 클러스트링 내에서 중심을 새로 지정한다. 4. 바꿔도 군집이 바뀌지 않으면 종료한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면 좋다. https://eunsukimme.github.io/ml/2019/12/16/K-Means/ 기본적인 KMeans의 동작은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어떻게 최적의 클러스터 개수를 지정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씩 알아보자 1. Elbow Method 2. Silhouette Method Elbo.. 2022. 3. 24. 컴퓨터 구조 Cache 종류 ( 4-Way set associative, Fully associative, 2-Way set associative, Direct mapped cache, cache friendly code, LRU ) 오늘은 Cache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는 AMAT를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AMAT란 무엇인지 모른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면 좋다. 2022.03.23 - [내가 하는 전자공학/컴퓨터 구조] - 컴퓨터 구조 AMAT ( Average Memory Access Time, cache 성능 평가 ) 컴퓨터 구조 AMAT ( Average Memory Access Time, cache 성능 평가 ) cache의 성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지표가 AMAT이다. cache는 instruction과 Data가 존재하는데 cache에 cpu가 찾는 데이터가 있다면 이걸 HIT이라고 하고 cache에 없다면 miss라고 한다. 없다면 메인 wpaud16.tistory.. 2022. 3. 24.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