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슬레이브 구조
에지 트리거 기법을 구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설명을 위해 D 플립플롭을 이용할 것이다.
위 그림은 D 플립플롭으로 D 래치 2개를 이어 붙인 것이다. (2개 래치 = 플립플롭) 앞단에 있는 D래치를 마스터, 뒷단에 있는 D래치를 슬레이브라고 한다.
천천히 보자,
IN에 1을 입력했다고 해보자
1) CK이 0일 때
- 마스터 부분에서의 출력은 1 그대로 나갈 것이다.
- 슬레이브 부분에서는 입력이 들어오나, CK가 0이라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2) CK가 1로 올라가는 순간
- 마스터 부분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 슬레이브 부분에서는 들어오고 있던 입력이 출력으로 나갈 것이다
같은 그림이지만 본인이 이해하기 쉽게 다른 그림으로 보자
A는 CK가 상승 에지일 때는 그전을 유지하다가, 하강 에지일 때 in을 그대로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OUT은 CK가 상승 에지일 때는 A값을 출력하고 하강 에지일 때는 전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렇게 때문에 플립플롭이 에지에서 반응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모순인 것을 알 수 있다. 둘 중 하나라도 동작하지 않으면 출력이 나올 수가 없다. 여기서 set up time, hold time이라는 중요한 개념이 나온다.
set up time : switching이 일어나기 전까지 입력이 정확하게 인식되는데 필요한 최소 유지시간
hold time : switching 후 상태 변화가 정확히 인식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
마스터의 입력이 Q까지 도달하기 위해 미리 입력을 받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마스터에 들어온 입력이 슬레이브까지 도달하기 위해 입력을 더 받는 것이다.

'반도체 기초 공부 > 논리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리회로 플립플롭 변환 ( JK F/F을 다른 F/F으로 변환 ) (0) | 2022.01.11 |
---|---|
논리회로 플립플롭 F/F (D 플립플롭, JK플립플롭, T 플립플롭, SR플립플롭, 플립플롭과 래치의 차이) (0) | 2022.01.11 |
논리회로 트리거링 기법 ( triggering, 타이밍 파라미터, 레벨트리거, 에지트리거, 숏 펄스 트리거, setup time, holdtime ) (0) | 2022.01.11 |
논리회로 무어머신, 밀리머신 개념과 차이 (Moore, Mealy) (2) | 2022.01.06 |
논리회로 순차논리회로, 조합논리회로 (Sequential Circuit, Combinational Circuit) (0) | 2022.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