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적 가설 검정 간단한 용어 정리 (귀무가설, 대립가설, 신뢰수준, 유의수준, 유의 확률, 양측 검정, 자유도, t-test)
바로 들어가겠다. 가설 검정이란, 완벽한 증명(100% 맞는 것)은 아니나 신뢰성('그럴 것이다')을 제공하는 것이다. 귀무가설과 대립 가설을 설정하고 통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설이 맞는지를 테스트한다. 예를 들면 주사위를 던져서 6을 연속 5번이 나왔다면 이게 우연인지, 던진 사람이 실력 있는 육잡인건지, 또, 약을 먹어서 나았다면 약 효과로 나은 건지, 원래 나을 사람이 나은 건지, 이런 것들의 가설이 맞냐 틀리냐를 정하는 것이다. 귀무가설(H0) - 기각될 것으로 기대하는 가설이다. - (차이가 없다, 영향력이 없다, 연관성이 없다, 효과가 없다)라고 말한다 대립 가설(H1) - 직접 증명이 어려우므로 귀무가설의 기각을 통해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뭔 소린지 감이 안 온다. 예를 들어보자 만약 가설..
2021.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