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모저모8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차이점, 팹리스, 반도체 소자, 국외 시스템 반도체) 반도체에는 크게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가 존재합니다. 메모리 반도체란 말 그대로 메모리. 즉,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입니다. 어떻게 해야 작은 칩 안에 많은 데이터를 쌓고 관리할 수 있을지 고민하여 발전하는 반도체입니다. 그렇다면 시스템 반도체는 뭘까요? 시스템 반도체는 연산, 제어 등 정보처리 기능을 하는 반도체라 볼 수 있습니다. 인간으로 치면 메모리 반도체는 기억력이 좋은 사람이고 시스템 반도체는 정보를 빨리 얻고, 계산을 잘하는 사람이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반도체 강국이라고 불립니다. 이때 여기서 말하는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를 의미합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우리나라가 세계 시장에서 절반이 넘는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DRAM에서는 1위 삼성전자와 2위 SK하이닉스와 3위.. 2021. 7. 28. 객체지향 언어(Python, Java, C++)와 절차적 언어(C언어, BASIC, PASCAL..)의 비교 [장단점, 탄생배경] ‘객체지향 언어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역사, 절차적 언어와 비교하여 장점과 단점,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객체지향 언어들에 대한 소개’에 대해 서술하겠습니다. 먼저 언어는 크게 절차적 언어와 객체지향 언어로 나눠집니다. 절차적 언어 폰 노이만 구조에 기반하여 변수, 배정문, 반복문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형 프로그래밍의 일종입니다.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과 데이터에 중심을 맞춘 언어입니다. 예로는 C언어와 BASIC, PASCAL, FORTRAN 등이 있습니다. 절차적 언어의 장점으로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쉽게 볼 수 있으므로 가독성이 높아지고 모듈화와 구조화에 더 용이하므로 추가적으로 이미 완성된 코드의 실행속도가 빨리 처리되어 시간적으로 유리합니다. 절차적 언어의 단점으로는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디버깅이 객체지.. 2021. 4. 9.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장단점, 차이점 (디지털 신호처리의 응용분야) 이런 말이 있다. 신은 곡선을 만들었고 인간은 직선을 만들었다. 조금 바꿔 말하면 신은 아날로그를 만들었고 인간은 디지털을 만들었다. 먼저, 신호처리가 뭔지 간단히 정의하면, 다양한 신호를 분석, 합성, 변조하는 것이다. 이 처리의 방법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이용한 방법이 존재한다. 먼저, 디지털 신호처리의 등장의 이유부터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우리의 세계(자연)는 아날로그 신호로 존재하는데 이 아날로그 신호는 외부 노이즈, 처리 속도, 대역폭 제한, 보관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품질을 위해 디지털 신호처리가 등장한다. 현대에 들어선 수많은 디지털 신호가 존재하는데 신호는 곧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수많은 정보 중에서 내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우리는 .. 2021. 4. 6.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