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 시스템
교환 시스템이란, 상대방과 나의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이다. 전용 회선 방식과 교화 회선 방식이 있다.
전용 회선 방식
-송수신 호스트가 전용 통신 선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북한이랑 우리나라가 한 라인으로 연결하는 방식(1 : 1)
교환 회선 방식
-전송 선로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것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있다.
회선 교환 방식
회선 교환 방식
-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고정 대역폭의 전송률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구조가 단순하다.
- 값싸고 구현이 쉽다.
- 연결돼 있는 와중에 간섭이 불가능하다. 독점적으로 연결해서 정보를 주고받는다.
- 속도가 빠르진 않다.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 경로를 미리 설정하는 방식이다.
- 모든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 이동한다
- 전용 선로를 할당 받아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 예로 PSTN(공중통화부스)
패킷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가변 대역 전송을 지원하지만 네트워크 구조는 복잡하다.
- 송신 호스트는 모든 데이터를 패킷의 단위로 쪼개서 보낸다. 그러면 상대가 받아서 다시 순서를 맞추는 형식이다.
- 효율이 좋다. (전송 대역 효율 등등)
- 각 패킷은 IP주소를 바탕으로 독립적으로 라우팅 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도착한다. (정적 경로[정하고], 동적 경로[유동적])
- 호스트의 무제한 수용
- 패킷에 우선순위 부여 ( 목적지에서 복구 가능하게 하는 이유)
- 지터 :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패킷의 도착 시간이 가변적이다(지연시간). 단점이다.
패킷 교환 방식의 방법
가상 회선
-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모든 패킷의 경로가 동일하다.
데이터그램
- 패킷을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시킨다. 가상 회선과 반대되는 경우다
메시지 교환 방식
메시지 교환 방식 ( 패킷보다 더 긴 단위)
- 전송하는 메시지의 헤더마다 목적지 주소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like 패킷 교환)
- 송신 호스트가 전송하는 전체 데이터가 하나의 단위로 교환 처리됨 (like 회선교환)
프레임 릴레이, 셀 릴레이 교환 방식
프레임 릴레이 교환 방식
-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하는 기술이다.
- 동일한 속도로 통신의 횟수를 줄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 위해 고안된 기술
- 단순하게 "잘 받았니 잘 받았다"로 구현 가능하다. 2 계층에서 설계 가능
셀 릴레이 교환 방식
셀 릴레이 교환 방식
-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하는 기술이다.
- 셀이라는 고정 크기의 패킷을 사용
- 오류 제어 최소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