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그 다음 학문/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교환 시스템 (회선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메시지 교환 방식, 셀 릴레이 교환 방식, 프레임 교환 방식, 가상 회선, 데이터그램)

by 전컴반 2021. 9. 17.
반응형
교환 시스템

 

교환 시스템이란, 상대방과 나의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이다. 전용 회선 방식과 교화 회선 방식이 있다.

 

전용 회선 방식

-송수신 호스트가 전용 통신 선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북한이랑 우리나라가 한 라인으로 연결하는 방식(1 : 1)

 

교환 회선 방식

-전송 선로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것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있다. 

 

 

저작권침해의사 없음

 

회선 교환 방식

 

회선 교환 방식

-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고정 대역폭의 전송률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구조가 단순하다.

- 값싸고 구현이 쉽다.

- 연결돼 있는 와중에 간섭이 불가능하다. 독점적으로 연결해서 정보를 주고받는다.

- 속도가 빠르진 않다.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 경로를 미리 설정하는 방식이다.

- 모든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 이동한다

- 전용 선로를 할당 받아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 예로 PSTN(공중통화부스)

 

패킷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방식

-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가변 대역 전송을 지원하지만 네트워크 구조는 복잡하다.

- 송신 호스트는 모든 데이터를 패킷의 단위로 쪼개서 보낸다. 그러면 상대가 받아서 다시 순서를 맞추는 형식이다.

- 효율이 좋다. (전송 대역 효율 등등)

- 각 패킷은 IP주소를 바탕으로 독립적으로 라우팅 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도착한다. (정적 경로[정하고], 동적 경로[유동적])

- 호스트의 무제한 수용

- 패킷에 우선순위 부여 ( 목적지에서 복구 가능하게 하는 이유)

- 지터 :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패킷의 도착 시간이 가변적이다(지연시간). 단점이다. 

 

패킷 교환 방식의 방법

 

가상 회선

-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모든 패킷의 경로가 동일하다.

 

데이터그램

- 패킷을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시킨다. 가상 회선과 반대되는 경우다

 

저작권침해의사 없음 (왼: 데이터그램, 오: 가상 회선)

 

메시지 교환 방식

 

메시지 교환 방식 ( 패킷보다 더 긴 단위)

- 전송하는 메시지의 헤더마다 목적지 주소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like 패킷 교환)

- 송신 호스트가 전송하는 전체 데이터가 하나의 단위로 교환 처리됨 (like 회선교환)

 

프레임 릴레이, 셀 릴레이 교환 방식

 

프레임 릴레이 교환 방식

-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하는 기술이다.

- 동일한 속도로 통신의 횟수를 줄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 위해 고안된 기술 

- 단순하게 "잘 받았니 잘 받았다"로 구현 가능하다.  2 계층에서 설계 가능 

 

저작권침해의사 없음

 

셀 릴레이 교환 방식

 

셀 릴레이 교환 방식

-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하는 기술이다.

- 셀이라는 고정 크기의 패킷을 사용 

- 오류 제어 최소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