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Multocore Processors (NUMA, SMT, Automatic NUMA Balancing, Task migration, page migration, Task grouping, Pseudo interleaving )
먼저 비교를 통해 어떤 구조가 더 좋은지 보자. 하나는 2개의 프로세서가 2개의 core가 각각 존재하고, 다른 하나는 1개의 프로세서에 2개의 core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어떤 구조가 더 좋을까? 후자가 더 좋다. 이유는 뭘까?? 이렇게 생각해보자, Dual Processor에서 하나의 core에서 프로세스가 돌아가다가 중간에 나왔다가 다시 구동될 때 다른 core로 들어가면 어떻게 될까?? 이때는 메모리로부터 새로 불러와야 된다. 하지만 하나의 프로세서에 2개의 core 중에 하나에서 구동하다가 다시 실행한다고 했을 때, 다른 core에 들어가도 서로 공유 cache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로부터 새로 불러 들어오지 않아도 된다. 훨씬 빠르다는 의미다. 이렇게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CMT 혹은 ..
2022. 4. 14.
운영체제 Multilevel Queue ( 멀티 레벨 큐 )
Multi level Queue - 우선순위의 이슈가 생기니 좀 더 세분화하여 프로세스들을 관리할 방법을 생각하다 보니, Multi level Queue의 개념이 나왔다. 앞선 CPU Scheduling Algorithms에 대해 알고 있어야 우선순위 이슈가 왜 생겼는지 알 수 있다. 이에 앞선 글을 참고하는 걸 추천한다. 2022.04.13 - [내가 하는 전자공학/운영체제 (OS)] - 운영체제 CPU Scheduling Algorithms (FCFS, RR, SJF, Priority Scheduling, 실제 burst time, Convoy effect ) 운영체제 CPU Scheduling Algorithms (FCFS, RR, SJF, Priority Scheduling, 실제 burst ti..
2022.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