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단 제가 준비한 건,261

파이썬 시간 복잡도 (Big-o, 빅오) 코드 동작 실행 시간을 체크하는 데 사용한다. 가장 기본적인 생각은 코드가 실행된 순간부터 끝나는 순간을 체크하면 된다. 파이썬은 time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쉽게 볼 수 있다. import time start = time.time() # 실행될 때 찍힌 시간 for i in range(10000000): pass end = time.time() # 실행될 때 찍힌 시간 print(f"{end - start}") # 정수부는 초단위, 소수부는 마이크로 초단위 출력 0.47263002395629883 time.time은 이 코드가 실행될 때 시작하는 시간이다. 그러니 시작과 끝에 이 코드를 적으면 얼마나 동작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코드에는 문제가 있다. 왜냐면 객관적인 시간이 아니기 때문.. 2021. 10. 17.
파이썬 any, all any = 조건이 하나라도 맞으면 참 all = 조건이 모두 같아야 참 l1 = [1, 2, 3, 4] put = 3 if any(put == i for i in l1): # 하나라도 참이면 참을 반환 print(f"{put} exists in l1") else: print(f"No exists") l2 = [2, 2, 2, 2] put = 2 if all(put == i for i in l2): # 모두 참이여야 참을 반환 print(f"{put} is the only element in l2") else: print(f"{put} No exists") 출력 exists in l1 is the only element in l2 2021. 10. 17.
파이썬 삼항 연산자, 맴버 연산자, 식별 연산자 (in, not in , is, is not) 삼항 연산자 var1 if 조건 else var2 조건이 참이라면 var1이고 거짓이라면 var2가 실행되는 삼항 연산자가 있다. 예를 들어보면 var1 = 8 var2 = 3 print(var1 if var1 < var2 else var2) 출력 3 맴버 연산자 맴버 연산자는 in과 not in 이 있다. 우리가 for in에서 썼던 것과 같다. 예를 들어보겠다. list1 = [1, 2, 3, 4, 5] var1 = "in" var2 = "not in" print(var1 if 3 in list1 else var2) 출력 "in" 3이 list 1에 있기 때문에 var1이 출력된다. 식별 연산자 식별 연산자는 말 그대로 확인하는 것이다. is와 is not이 있다. 같이 같으면 True, 다르다면 F.. 2021. 10. 17.
딥러닝 신경망 기본 (신경망, 랭크, 다층 퍼셉트론, 활성화 함수, 역전파) 신경망 신경망 모델은 네트워크라고도 부르며 우리 뇌를 구성하는 뉴런이라는 신경을 모방하여 만들었다. 기본적으로 입력 신호 벡터에 어떤 가중치를 곱하거나 더하거나 비선형 처리를 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해주는 모델이다. 신경망은 입력 데이터에 가중치를 곱하여 중간 출력을 만들고 또 다음 중간 출력을 다시 가중치를 곱하여는 구조를 반복한다. 이런 반복의 마지막층을 출력 계층이라 부른다. 모든 망들이 다 연결돼 있기 때문에 전 결합 망이라고 부른다 계층별 연산은 Y = WX +b의 수식을 따르는데 W는 가중치고 X는 벡터로 들어간다. b는 스칼라 값인 편이(bias)이다. 이를 텐서라고 부른다. 이 텐서에서의 차원을 랭크라고 부른다. 랭크는 아래에서 예를 들어보겠다. 랭크 만약 입력 신호가 200장의 컬러 이미.. 2021. 10. 16.
전자회로 증폭기 (OP-Amp, 반전 증폭기, 비반전 증폭기, 반전 가산 증폭기, 차동 증폭기) 증폭기는 입력 전압 대비 출력 전압을 크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여러 증폭기가 있지만 가장 기본인 반전 증폭기와 비반전 증폭기에 대해 알아보자, 두 증폭기의 공통점은 negative feedback(안정성을 유지)을 사용한다. 음의 전압에 들어가는 것이다. 다음으로 반전 증폭기와 비반전 증폭기의 차이는 전압 이득의 부호에 차이로 나뉜다. 반전 증폭기는 전압 이득의 부호가 (-) 음의 부호를 나타내서 반전이라 부르고, 비반전 증폭기는 전압 이득이 (+)양의 부호를 나타내기 때문에 기존 전압과 차이가 없다고 하여 비반전이라 부른다. 그리고 반전 가산 증폭기와 차동 증폭기에 대해 간단히 알아볼까 한다. 각설하고 먼저 증폭기의 기본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증폭기 원리 가장 기본 꼴이다. 입력인 Vs를 가하면 출력.. 2021. 10. 6.